UDP Flooding의 경우, 잘못된 서비스 포트로 UDP 패킷이 전달되었을때 발생하는 ICMP Destination Port Unreachable 메시지가 비정상적으로 다수 발생


'사후 사용거부' 가능하지만 자기정보 결정권 침해 논란


방통위, 법위반 기업 재발방지 대책 마련하면 사건 종결

(서울=연합뉴스) 고상민 기자 =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 부문에서 신상이 구별되지 않는 개인정보는 사업자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나중에 당사자가 개인정보 활용 거부 의사를 밝히면 이를 바로 중지하는 사후거부 방식제도가 도입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7일 발표한 '2016년 업무계획'에서 비식별화와 익명화 조치 근거를 만들어 개인정보를 활용한 산업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가령 다량의 개인정보를 빅데이터로 만들어 개인별 맞춤형 온라인 광고 등 마케팅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비식별화는 개인정보를 암호화 등으로 가공해 당사자와 연결짓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정보 활용 과정에서 특정인의 신상 노출로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조치다.

아울러 방통위는 사업자가 정보 주체의 동의를 받지 않고 개인정보를 처리하되 나중에 당사자가 거부 의사를 밝힌 경우 이를 바로 중지하는 사후거부 방식(옵트아웃)의 법제화를 검토 중이다. 

이 제도는 개인의 자기 정보 결정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아온 만큼 앞으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방통위는 온라인 개인정보 취급 가이드라인과 빅데이터·스마트폰 앱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을 상시로 점검해 개선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웹호스팅·결제대행업체 등 개인정보가 집적된 분야와 배달앱·콜택시앱 등 국민이 자주 활용하는 서비스 분야의 개인정보 보호조치도 집중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위치정보 산업 육성안도 마련했다. 위치기반서비스(LBS)는 사물인터넷이나 온라인-오프라인 연계 사업 등에서 핵심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신성장 산업이다.

방통위는 신생 벤처기업들이 위치정보를 통한 차세대 비즈니스를 발굴할 수 있도록 돕고, 맞춤형 상담, 특허 출원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허가기간 단축, 간이신고제 도입 등 관련 규제도 완화해 사업자 부담을 줄여주기로 했다.

또, 방통위는 통신시장에 대한 사후규제 체계를 조사·제재 중심에서 자율규제 체계로 전환하되 위반 시 제재는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공정거래위원회처럼 동의의결제도를 도입, 법률 위반 혐의가 있는 사업자가 스스로 재발 방지 대책과 피해 구제 방안 등을 마련하면 위법 여부를 가리지 않고 사건을 종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동의의결은 사업자들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소비자 피해 회복 등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취지지만, 일각에서는 기업에 면죄부를 부여하는 제도라는 비판을 제기하기도 한다.

방송통신 결합상품에 대한 지속적인 단속과 아울러 이용자 보호강화 조치도 이뤄진다.

방통위는 결합상품 간 과도한 할인 격차나 해지 위약금의 적정성 여부, 해지 절차 규정 위반 여부 등을 점검하기로 했다. 

이용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방송통신 이용자보호법을 제정하는 한편 이용자 보호업무 평가 대상을 기존 20개사에서 포털사업자(4개사)와 알뜰폰사업자(1개사)까지 포함한 25개사로 확대한다.

출처 :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001&oid=001&aid=0008148308


(서울=연합뉴스) 조성대 기자 = 중국군이 10만여명의 해킹 병력을 보유하고 세계 각국과 사이버전쟁을 벌이는 사이버통합부대를 정식 창설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중국군 개편에 따라 신설된 전략지원군 '사이버공간작전부대(網絡空間作戰部隊)'가 사이버전쟁을 전담한다고 미국에 본부를 둔 중화권 매체 보쉰(博迅)이 군 소식통들을 인용해 19일 보도했다.

'잔즈3부(戰支3部)'라는 약칭으로 불리는 이 사이버 부대는 부대의 특수성과 보안 때문에 외부에 공개 되지는 않았지만 연합참모부로 개편된 옛 총참모부 산하 기술정찰부(약칭.총참3부)의 병력과 조직을 인계받아 개편 작업을 마쳤다고 보쉰은 전했다. 
하지만 잔즈3부의 부대 번호와 휘장, 그리고 사령관 신원과 본부 소재지 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총참3부에는 해커 10만명이외에 언어전문가, 분석가, 기술 인력 등이 상당수 있으며 산하에 16개 국을 두고 전 세계 인터넷과 통신을 감청 또는 해킹하고 분석하는 임무를 수행한다고 보도했었다.

이 사이버전 부대는 베이징 하이뎬취(海淀區)에 본부를 두고 상하이(上海), 칭다오(靑島), 산야(三亞), 청두(成都), 광저우(廣州) 등에 지부가 있다는 것이다.

뉴욕타임스(NYT)는 2013년 상하이 푸둥(浦東)의 12층 건물에 본부를 둔 중국군 61398 부대(총참3부 2국)가 영문 인터넷 해킹을 담당한다고 전했다.

총참3부는 영어이외에 한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등이 사용되는 사이버 공간을 해킹하며 허베이(河北)성 성도 정저우(鄭州)에 있는 정보공정대학(信息工程)에서 해커들을 양성해 군으로 보냈다.

이밖에 사이버전 부대는 중국 각 대학의 컴퓨터와 수학 전공 대학원생들을 대거 차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들은 전략지원군은 사이버전 전담인 잔즈 3부이외에 정찰·항법위성을 관리 담당하는 우주전쟁 부대, 레이더와 통신을 교란·오동 시키는 전자전 부대로 구성됐다고 말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은 새해를 전후해 '로켓군', '육군(통합)지휘기구', '전략지원군' 등을 창설하고 지난 5일 군 개편 시행 이후 처음으로 일선 군부대를 시찰하면서 군 개혁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공산당에 대한 충성을 강하게 촉구했다.

출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8130179&sid1=001


+ Recent posts